TCFD 권고안
-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이사회의 관리 감독
-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를 평가 및 관리하는 경영진 역할
CJ프레시웨이 대응현황 및 계획
CJ프레시웨이는 기후변화 대응 관련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위한 경영진 역할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2021년 12월 ESG 위원회를 신설하고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성과 및 개선방안 관리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대내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경영에 대한 관심과 참여의식을 높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ESG 위원회는 Carbon Negative를 목표로 기후 변화 관련 주요
안건을 이행하고 환경안전경영 책임 조직인 고객품질안전센터를 통해 환경과 관련된 이슈를 지속적으로 관리감독 하겠습니다. 또한 환경경영체제 ISO14001 인증 갱신과 성과를 지속 모니터링 해나가겠습니다.
TCFD 권고안
- 단기, 중기 및 장기적인 측면의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
-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가 조직의 사업, 전략 및 재무 계획에 미치는 영향
- 2℃ 이하의 시나리오를 포함, 다양한 기후변화와 관련된 시나리오를 고려한 전략
CJ프레시웨이 대응현황 및 계획
CJ프레시웨이는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전사업 구조별로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과 기회를 검토하고, 세분화된 환경 정책과 전략, 단기, 중기, 장기 목표를 수립하여 지속 관리할 예정입니다. 단기적으로는
기보유중인 환경경영지침서 개정을 준비중이며, 향후 친환경 물류 체계 및 자원순환체계 구축 구체화 등을 통해 기후변화 관련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여 당사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사업·재무적 영향을 관리해 나가고자
합니다.
TCFD 권고안
- 기후변화 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기 위한 프로세스
- 기후변화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
- 기후변화 위험을 식별, 평가 및 관리하는 프로세스와 조직의 전반적 위험 관리 체계와의 통합 수준
CJ프레시웨이 대응현황 및 계획
CJ프레시웨이는 사업장 내 온실가스 배출과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하여 배출원과 배출량에 대한 관리를 통해 기후변화 위험에 대응하고, 통합 리스크
관리 범위에 포함하여 경영활동에 반영하고자 합니다.
TCFD 권고안
-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 평가 지표
- Scope1, Scope2, Scope3 온실가스 배출량
- 기후변화 위험, 기회와 성과 관리 목표
CJ프레시웨이 대응현황 및 계획
CJ프레시웨이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기회를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양한 지표 공개를 확대하고 데이터 관리를 강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하는 노력을 지속하고자 합니다.
구분 |
단위 |
2021 |
직접배출량 |
tCO₂eq |
12,402 |
간접배출량 |
tCO₂eq |
14,875 |
배출량 합계 |
tCO₂eq |
27,277 |